
제목 : | |
작성자 : 관리자 | 첨부파일 : 파일없음 |
신용카드업계 전자거래 흔들기 파문 전자상거래 분야를 겨냥한 신용카드업계의 승인방법 변경이 도마에 올랐다. 카드업계는 안전한 전자상거래 정착을 위해 서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당사자인 전자상거 래업계 및 지불결제대행(PG)업계는 카드사의 ‘횡포’라고 강 하게 반발하고 있다. ◇카드업계의 옥죄기=국민카드는 이번주부터 전자상거래 를 통한 신용카드 결제시 승인방법을 일부 변경키로 전격 결 정했다. 온라인쇼핑을 비롯해 모든 전자거래시 30만원 이상 을 결제할 때는 카드 사용자가 ‘전자상거래 이용 예정 고객’임 을 국민카드측에 통보해야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승인방법을 바꿔버린 것이다. 이에 따라 30만원 이상 온라인거래를 원하는 소비자는 국 민은행 사이트에 접속해 이용등록을 추가로 하거나 ARS 전 화 후 상담원에게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것임을 알려줘야 한 다. 또 통보 후 1시간 이내에 신용카드 결제가 이뤄져야 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재등록해야 거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교 체했다. 이에 앞서 LG카드와 BC카드도 최근 PG업계에 50만원 이상 거래고객에게는 해당 사업자인 쇼핑몰과 별개로 거래상황을 의무적으로 통보하고 확인해줘야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내 용의 공문을 발송했다. ◇카드업계의 의도=국민카드측은 이번 조치를 “정상적인 전자거래 정착을 위해 불가피한 보안정책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. 단기적으로 매출이 줄더라도 고객정보 유출에 강력히 대처하겠다는 의도다. 그러나 변경안을 이미 준비해 놓고 매 출급감을 이유로 시행하지 않다가 갑작스럽게 시행하는 점 에 대해서는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. 이번 건을 포함해 전자상거래 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 는 일련의 조치는 카드업계의 어려움에 따른 것도 있지만 PG 업체에 대한 불신도 작용하고 있다. 회사규모나 신용도, 심지 어 비즈니스 자체까지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. 이에 카드사 는 전자상거래 시장확대로 점차 역할이 커지고 있는 PG업체 를 사업 파트너로 인정하면서도 일부 대형업체를 제외한 중 소형 후발업체는 전혀 ‘믿음’을 주지 않고 있다. PG업체 ‘발목 잡기’식의 일방향 정책이 잇따라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. 실제로 지난 5월 수수료 인상도 일부 PG사의 정상 입금률이 낮은 데 따른 대응책이라는 소문이 업계에 파다하다. ◇전자거래업계의 대책=뾰족한 대응방안을 못찾고 있다. 지난 5월 카드사의 수수료와 대금지급 연장방침때도 일부에 서는 공동으로 대처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왔다. 그러 나 신용카드 업계도 연체율이 떨어지지 않는 등 자금유동성 에 구멍이 생긴 상황을 고려할 때 ‘수수료 인상과 대금지급 연장불가’라는 PG업체의 입장만을 고수할 수 없었다. 이번 국민카드 경우도 마찬가지다. 전자거래의 규모가 줄어들지 않을까 우려만 할 뿐 뾰족한 ‘해법’을 찾지 못하고 있다. 단지 이번 조치가 국민카드뿐 아니라 전 카드업계로 퍼지지 않을 까 우려하고 있다. PG업계는 “PG업체들을 아직도 카드깡업자로 보는 시각이 여전하다”며 “카드사가 사업 파트너로 인정한다면 지금과 같 은 일방적인 조치를 취하지는 못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 이 같 은 입장은 전자상거래 업체도 마찬가지다. ◇업계 파장=문제는 전자상거래 시장 자체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. 복잡한 절차와 까다로운 승인방법, 수수료에 따른 제품가격 인상은 전자상거래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외 면이라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.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 넷 인프라를 통한 ‘전자상거래 선진국’이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은 신용카드사의 ‘책임 떠넘기기’식 방침에 관련 업계가 공 동으로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. <강병준기자 bjkang@etnews.co.kr 이병희기자 shake@etnews.co.kr> ○ 신문게재일자 : 2003/06/19 ○ 입력시간 : 2003/06/18 16:09:45 |
|
이전글 : [다나와 전자보증중계서비스.] | |
다음글 : [전자보증서비스 인기] |
T. 02-2279-6830 E. yahoo@usafe.co.kr